효율적인 알고리즘이란, 입력값이 커짐에 따라 증가하는 시간의 비율을 최소화한 알고리즘
을 구성했다는 것입니다.
시간복잡도를 표기하는 방법은 빅-오를 사용합니다.
빅-오 표기법은 최악의 경우를 나타내는데 프로그램 실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악의 시간까지 고려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최악의 경우도 고려하여 대비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다른 표기법보다 빅오표기법을 많이 사용합니다.
(최악, 최선, 평균순)
Constant complexity
O(1)은 constant complexity
라고 하여, 입력값이 증가하더라도 시간이 늘어나지 않습니다.
상수의 시간 복잡도라는 의미이기 때문에, 입력값의 크기와 관계없이, 즉시 출력값을 얻어낼 수 있습니다.
위 예시의 경우, arr
의 길이가 십만, 백만 단위로 늘어나더라도, 즉시 해당 index
에 접근해 값을 반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