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 this essay I want to talk about how I write code.
이 글에서는 내가 어떻게 코드를 쓰는지 말하고자 한다.
I am going to call my approach “codin’ dirty” because I often go against the recommendations of Clean Code. a popular approach to writing code.
나의 접근 방식을 “더리코딩”이라고 부르겠다 왜냐하면 나는 종종 인기있는 클린코드의 추천 방법에 반하기 때문이다.
Now, I don’t really consider my code all that dirty: it’s a little gronky in places but for the most part I’m happy with it and find it easy enough to maintain with reasonable levels of quality.
이제, 저는 제 코드가 더럽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약간은 지저분해 보일 수 있지만 대부분은 만족하며 그것은 합리적인 수준의 유지보수를 충분히 쉽게 할 수 있어서 행복합니다.
I’m also not trying to convince you to code dirty with this essay.
나는 이 에세이가 여러분을 더럽게 코드를 작성 하라고 설득하는 것이 아닙니다.
Rather, I want to show that it is possible to write reasonably successful software this way and, I hope, offer some balance around software methodology discussions.
오히려, 이런 식으로 작성해도 합리적이고 성공적인 소프트웨어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고, 소프트웨어 방법론 논의에 균형을 제공하고 싶습니다.
I’ve been programming for a while now and I have seen a bunch of different approaches to building software work.
나는 한동안 프로그래밍을 해왔고 다양한 소프트웨어 구축 방식을 경험하였습니다.